수원시 도심지역이 역세권 복합개발로 새롭게 재편될 전망이다.
수원시가 내년부터 수원역과 수원시청역, 영통역 등 역세권을 중심으로 하는 복합개발에 들어가는 것이다.
시가 야심차게 추진할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은 ▲도심복합형 ▲일자리형▲생활밀착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추진된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1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수원형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 브리핑을 가졌다.
이 시장은 “진행중인 모든 광역 철도망 구축 사업이 완료되면 수원의 전철역은 22개로 늘어난다”며 “개통이 확정된 22개 역세권을 복합개발해 '콤팩트시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수원시는 역세권 주변 공공개발 사업과 연계성, 대학교와 근접성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해 먼저 9개 역세권 230만㎡(70만 평)을 전략지구로 설정하고, 복합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에 9개 전략지구에서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을 시작해 2030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9개 전략지구는 수원·고색·구운·북수원파장·성균관대·수원월드컵경기장·수성중사거리·영통및 장안구청역 등 9개역 주변지역이다.
시는 역세권 범위를 역 주변 보행밀도와 직장인구 데이터 등 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승강장으로부터 반경 300m 이내로 설정했다.

특히 다른 역들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수원역'과 '수원시청역'은 반경 500m로 설정했다.
시가 야심차게 추진해 나갈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은 도심·부도심 지역과 환승역세권은 업무·상업 복합 기능이 중심이 되는 ‘도심복합형’이 중심에 서있다.
'일자리형'은 대학교와 가까운 역세권과 첨단 업무시설 입지 예정지역이 들어가는데 이는 자족 기능을 강화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생활밀착형’은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도심 주거 기능을 강화하는 유형이다.
이재준 시장은 “역세권 복합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도록, 규제를 과감하게 철폐하겠다”며 “개발사업의 걸림돌이 됐던 용도지역·용적률 규제를 단계적으로 완화해 민간·공공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겠다”는 복안도 내놨다.
이같은 사업들도 사업의 투명성과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법 테두리 안에서 추진해 나간다.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관련 법인 '국토계획법 제52조의2'에서 허용하고 있는 지자체가 할수 있는 '재량권'을 최대한 활용해 역세권 복합개발 사업을 적극 추진해 나가는 것이다.
수원시는 역세권 복합개발에 참여하는 민간·공공 시행자들을 대상으로 개발계획 수립, 전문가 컨설팅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인허가 기간을 단축해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 관련 조례는 이번 달 안에 공포될 예정이다.
이재준 시장은 “22개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이 완료되면 도심 개발 용지 140만 평을 확보하고, 7만 평 규모의 생활SOC가 공급될 것”이라며 “공간대전환의 핵심인 역세권 복합개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세계가 주목하는 역세권 콤팩트시티의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