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인공지능 융합교육 중심고’를 주축으로 지역과 연계한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운영, 인공지능(AI) 미래교육의 지역 협력모델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14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인공지능 융합교육 중심고’는 인공지능 융합과목을 24단위 이상 편성해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창의융합형 인공지능 교육실을 구축하는 학교로 현재 도내에 10개 교가 있다.
이들 학교에서는 ▲지역 대학 업무협약을 통한 인공지능 교육 ▲학교 간 인공지능 교육 연합 캠프 ▲방과후, 방학 중 인공지능 교육 ▲학교자율교육과정 연계 AI 융합 주제 프로젝트 ▲교과 간 인공지능 융합 프로그램 등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특히, 이번 여름방학 동안 지역과 연계한 다양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는데, 수원 매탄고의 경우 정보, 과학 교과를 융합해 기후 데이터 수집, 인공지능 분석 프로그래밍을 통해 기후변화를 예측·분석하는 교과 간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또 일산대진고는 AI·SW 교육 고교 연합 메이커톤(15~16일)을 실시, 백마고와 도래울고, 고양국제고 학생 등 95명이 참여해 지속가능발전목표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방안 기획, 알고리즘 설계, SW·AI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밖에 김포제일고는 지역 문제 해결 해커톤 대회(20~21일), 부천 송내고는 LG 디스커버리 랩 방문(20일)을 통한 생성형 인공지능 원리 체험, 오산 세교고는 한신대와 협업해 AI 기술을 활용한 지역 문제 해결 프로젝트 진행, 시흥 정왕고는 SW에듀톤 운영(7월 말) 등이 이뤄진다.
도교육청 조영민 미래교육담당관은 “인공지능 기술이 더 나은 사회를 위한 문제해결 도구로 활용되고 주도적 디지털 시민을 키우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인공지능 융합교육이 도내 전체 학교에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