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이 광교로 이전하면서 ‘경기도의 보물이라 평가할 수 있는 팔달산 도청에 있던 도청과 도의회 현판을 광교청사 현관에 배치하고, 서울 광화문 구 경기도청 터에서 가져온 측백나무 역시 광교 도청사에 자리 잡아야 한다’는 의견서가 경기도에 제출됐다.

경기도청에서 40년 공무원으로 근무하고 퇴직한 이강석 전 남양주 부시장은 김동연 경기도지사에게 국민신문고를 통해 제출한 건의서에서 “1967년에 현재의 자리에서 출범한 경기도청 정문에는 박정희, 김영삼 전 대통령이 직접 쓴 글씨를 새긴 동판 문패가 있었고, 서울 광화문 경기도청 자리에 있던 측백나무가 지금 광교 역사공원에 이식돼 광교신청사 제자리로 갈 날을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청과 도의회 동판이 고철로 사라질 위기에서 보존하게 됐다는 이씨는 “도청, 의회 현판으로 쓰인 동판은 광교신청사 현관에 설치하고, 1910년부터 서울 광화문 도청을 지키다가 2017년 남경필 도지사와 박원순 서울시장의 협의로 광교 역사박물관에 이식된 측백나무는 경기도청내 공원 중앙에 이식해서 경기도의 역사성을 이어가는 축의 하나로 삼아야 한다”고 김동연 경기지사에게 건의했다고 밝혔다.
이 씨는 “동판과 측백나무는 100년 경기도 역사를 이어가는 경기도의 보물과도 같은 존재이며 김동연 지사님이 제자리에 자리를 잡아주실 것으로 믿는다”면서 “어렵게 지켜낸 동판을 광교청사의 현관에 배치하고, 광교역사박물관에 이식된 측백나무 역시 100년 경기도 역사를 이어가는 의미에서 광교청사 중앙에 자리한 공원에 이식하는 것이 도민의 자긍심을 드높이는 일이라는 것을 건의문을 통해 밝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