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인구 1천400만 돌파..전 국민의 26.6% 경기도에 산다

  • 등록 2023.05.21 18:32:34
크게보기

-2002년 인구 1천만 명 돌파한 후 20년 4개월만
-자연적 인구 증가보다는 다른 지역 인구 이동에 따른 증가가 주요 원인

2023년 4월 말 기준 경기도 내 인구(내국인+외국인)가 사상 최초로 1천400만 명을 돌파했다. 


2002년 12월 말 인구 1천만 명을 돌파한지 20년 4개월, 2016년 8월 말 1천300만 명을 넘긴 지 6년 8개월 만이다. 


21일 경기도가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와 법무부의 등록외국인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월 말 주민등록인구는 1천360만 7천919명, 등록외국인은 39만 5천608명으로 총 1천400만 3,527명이 경기도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말 기준 국내 총인구 5천264만 5천711명의 26.6%가 경기도에 사는 셈으로 서울 인구(967만 명)의 1.4배가 넘는다. 


경기남부에 1천38만4천604명(74.2.%), 북부에 361만8천923명(25.8%)이 살고 있다.


경기도 인구가 1천만 명을 넘은 시점은 2002년 12월 말로 2023년 4월까지 20년 4개월 동안 4백만 명의 인구가 꾸준히 증가했다. 


경기도는 2003년 12월 말 1천36만 1천638명의 인구를 기록하며 서울시 인구 1천27만 6천968명을 처음 추월했다. 


서울에 있던 경기도청이 수원으로 이전한 1967년과 비교하면 1천1백만 명의 인구가 늘었다. 1967년 말 당시 경기도 인구는 307만 797명이었다.


시군별로는 수원시가 122만 6,735명, 용인시 109만 2,738명, 고양시 108만 9,934명 순으로 가장 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은 연천군이 4만 2,769명, 가평 6만 3,005명, 과천 7만 9,133명 순으로 시.군 간 인구 격차가 컸다.


▲경기도청 전경<경기도 제공>

경기도의 인구 증가는 출산 등에 따른 자연적 증가보다는 다른 지역의 인구 이동에 따른 사회적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됐다. 


2016년부터 2022년까지 경기도의 자연적 증가 인구는 15만 8,402명 이었지만, 사회적 증가 인구는 91만 7,311명으로 75만 8,909명 차이가 났다.


지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경기도는 99만 명대의 인구 유입이 있었고, 서울 77만 명, 부산, 대구, 경북, 경남으로부터 각각 3만 명대의 전입이 발생했다. 


반면 동일 기간 인구 유출은 7만 명대에 불과했다. 2016년 8월부터 2023년 4월까지 경기도 내 시·군별 내국인 수 증가 지역은 화성 30만 5천 명, 하남 13만 5천 명, 김포 12만 9천 명, 평택 12만 4천 명, 시흥 12만 2천 명 순이다. 

안자영 aajjyy999@naver.com
Copyright @K이코노미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엠비씨이코노미(MBCECONOMY) | 사업자등록번호 529-86-02027 | 등록번호: 경기,아53308 | 등록일 : 2022-06-22 발행인/편집인:최선욱 | 수원본사:경기도 수원시 청명남로30,거성빌딩 | 용인본사: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기흥ICT밸리 A동2001호 | 전화 : 031-217-1717 | 팩스031-211-1719 | K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K이코노미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